전기기사
* 해커스 전기기사 교수진이 과년도 10개년 기출문항을 분석한 내용입니다.
구분 | 단원 | 단원별 출제율(%) | 장별 출제율(%) |
---|---|---|---|
벡터 | 개요 | 0 | 1 |
스칼라량과 벡터량 | 0 | ||
벡터의 가감법 | 0 | ||
벡터의 곱 | 0.2 | ||
미분연산자 | 0 | ||
벡터의 발산 | 0.2 | ||
벡터의 회전 | 0.3 | ||
스토크스의 정리와 발산의 정리 | 0.3 | ||
진공중의 정전계 |
정전계의 기초사항 | 0.2 | 15.5 |
쿨롱의 법칙 | 0.7 | ||
전계의 세기 | 1.3 | ||
전속과 전속밀도 | 0.8 | ||
가우스의 법칙 | 1.7 | ||
각 도체에 따른 전계의 세기 | 2.3 | ||
전위와 전위경도 | 3.5 | ||
도체 내·외부 전계 및 전위 | 1.2 | ||
전기력선 방정식 | 0.2 | ||
전기 쌍극자 | 2 | ||
전기 이중층 | 0.2 | ||
포아송과 라플라스 방정식 | 1.2 | ||
대전 도체면에 작용하는 정전응력 | 0.3 | ||
정전용량 | 정전용량 | 0.2 | 4.8 |
도체에 따른 정전용량 | 1.5 | ||
도체계의 정전용량 | 0.3 | ||
콘덴서의 접속 | 1.5 | ||
정전에너지와 힘 | 1.3 | ||
유전체 | 유전체 | 5.2 | 12.7 |
전기 분극 | 2 | ||
경계조건 | 3.2 | ||
패러데이 관 | 0.3 | ||
유전체에 작용하는 힘 | 1.2 | ||
유전체의 특수현상 | 0.8 | ||
전기 영상법 | 영상법의 개요 | 0 | 3.5 |
접지된 도체 평면과 점전하 | 2 | ||
접지된 도체구와 점전하 | 0.3 | ||
접지된 도체 평면과 선전하 | 0.8 | ||
유전체와 점전하 및 선전하 | 0.3 | ||
평등 전계 내의 유전체구 | 0 | ||
전류 | 전류와 전류밀도 | 1.3 | 6.8 |
전기저항과 옴의 법칙 | 1.3 | ||
저항의 온도계수 | 0.5 | ||
저항의 접속법 | 0.2 | ||
줄열과 전력 | 0.7 | ||
저항과 정전용량 | 2.5 | ||
열전현상 | 0.3 | ||
진공중의 정자계 |
자기현상 | 0 | 2.3 |
정전계와 정자계 | 1.5 | ||
자계에 의한 힘(회전력) | 0.8 | ||
전류의 자기현상 | 전류의 자기현상 | 0 | 13.3 |
암페어의 법칙 | 5 | ||
비오-사바르의 법칙 | 3.7 | ||
자계 중의 전류에 작용력 | 1.8 | ||
평행도체 전류 사이에 작용력 | 1.3 | ||
로렌쯔의 힘 | 1.5 | ||
자성체와 자기회로 | 히스테리시스 곡선 | 2.2 | 14.3 |
자화의 세기 | 5.5 | ||
경계조건 | 0.8 | ||
자화에 필요한 에너지 | 1 | ||
자기회로 | 4.8 | ||
전자유도 법칙 | 패러데이의 전자유도법칙 | 1.7 | 6.2 |
전자유도에 의한 기전력 | 1.7 | ||
전자계 특수현상 | 2.8 | ||
인덕턴스 | 자기 인덕턴스 | 2.5 | 7.8 |
상호 인덕턴스와 결합계수 | 2.5 | ||
자기 인덕턴스의 계산 예 | 2.7 | ||
인덕턴스 접속법 | 0.2 | ||
전자계 | 변위전류 | 2.7 | 11.7 |
맥스웰 전자방정식 | 1.7 | ||
평면파와 전자계의 성질 | 4.7 | ||
포인팅 정리 | 1.2 | ||
벡턴 포텐셜 | 1.5 |
구분 | 단원 | 단원별 출제율(%) | 장별 출제율(%) |
---|---|---|---|
전력계통 | 표준전압 및 공칭전압 스틸식 | 0.4 | 3.1 |
직류송전방식과 교류송전방식의 비교 | 0.9 | ||
계통연계 | 1.9 | ||
전선로 | 전선 전선의 구비조건 연선 ACSR | 0.7 | 5.4 |
전선의 굵기 선정 | 1.5 | ||
전선의 이도 | 0.9 | ||
전선의 진동과 도약, 댐퍼, 오프셋 | 0.4 | ||
애자, 지선, 금구류, 철탑 | 1.5 | ||
지중전선로 | 0.4 | ||
선로정수와 코로나 | 인덕턴스 정전용량 | 1.7 | 5.7 |
등가선간거리, 등가반경, 연가 | 1.7 | ||
코로나 현상 | 1.3 | ||
복도체 및 다도체 | 1.1 | ||
송전특성 및 조상설비 | 단거리 송전선로 | 1.9 | 10 |
페란티 현상, 충전용량 및 충전전류 | 1.3 | ||
중거리 송전선로 | 2.6 | ||
장거리송전선로 | 1.1 | ||
전력원선도 | 0.9 | ||
조상설비 | 2.2 | ||
고장계산 및 안정도 | 평형 대칭 3상, 불평형 비대칭 3상 | 0.7 | 8 |
고장계산 지락사고 선간,3상단락사고 | 1.5 | ||
고장전류계산 옴법,%임피던스법 | 2.6 | ||
안정도 | 3.1 | ||
중성점 접지방식 | 중성점 접지의 목적 | 0.7 | 5.9 |
비접지 방식 | 2 | ||
직접접지방식 | 1.5 | ||
소호리액터접지방식, 저항접지방식 | 1.7 | ||
이상전압 및 방호대책 | 이상전압의 종류 및 특성, 절연협조 | 3.3 | 11.3 |
피뢰기 | 3 | ||
가공지선 및 매설지선 | 1.9 | ||
유도장해 및 경감대책 | 3.1 | ||
송전선로 보호방식 | 보호계전기 | 3.9 | 17 |
송전선로 보호계전방식 | 2.4 | ||
차단기 | 5.9 | ||
단로기, 개폐기 | 2.8 | ||
전력용 퓨즈 | 0.6 | ||
계기용 변성기 | 1.5 | ||
배전방식 | 배전방식의 종류 및 특성 | 2 | 6.9 |
저압 배전방식 | 2.2 | ||
전력수요와 공급 | 2.2 | ||
손실계수와 분산 손실 계수 | 0.4 | ||
배전선로 계산 | 변압기(단권) 및 결선 | 2.8 | 13.7 |
전압강하 계산 | 0.7 | ||
전압강하율, 전압변동률, 전력손실 | 0.9 | ||
전력손실 방지 대책 | 2.4 | ||
배전선로 전압조정 | 1.9 | ||
전기방식별 소요 전선량, 전력비 | 1.3 | ||
역률개선(젼력용콘덴서) | 3.7 | ||
발전 | 수력발전 | 5.2 | 13 |
화력발전 | 5.4 | ||
원자력발전 | 2.4 |
구분 | 단원 | 단원별 출제율(%) | 장별 출제율(%) |
---|---|---|---|
직류기 | 직류 발전기의 원리, 구성요소, 전기자 권선법, 기전력 | 1.5 | 18.3 |
직류 발전기의 특성(전기자 반작용, 정류_) | 3.7 | ||
직류 발전기의 종류 및 특성 | 4.1 | ||
직류 발전기의 병렬운전 | 1.5 | ||
직류 전동기의 기본이론 | 0.7 | ||
직류 전동기의 종류 및 특성, 토크 | 3.5 | ||
속도 제어법, 속도 변동률 | 0.9 | ||
제동 | 0.2 | ||
직류 전동기의 기동 | 0.6 | ||
직류기의 손실 및 효율 | 0.9 | ||
특수 직류기(동력계, 단극발전기, 승압기) | 0.7 | ||
동기기 | 동기 발전기의 종류(회전형태, | 1.9 | 20.6 |
동기 발전기의 구조 및 특징(권선법, 주변속도기전력, 반작용) | 4.1 | ||
동기 발전기의 특성(출력, 단락비, 자기여자) | 5.7 | ||
동기 발전기의 병렬운전 | 3 | ||
동기 전동기의 특성(난조) | 1.9 | ||
동기 전동기의 기동법(제동권선) | 1.1 | ||
동기 전동기의 전기자 반작용, 토크 | 0.6 | ||
동기 조상기의 기능 및 V곡선(위상특성곡선) | 2.4 | ||
변압기 | 변압기의 기본이론(기전력, 권수비) | 2.2 | 22.6 |
변압기의 특성 | 1.1 | ||
변압기의 등가회로(시험, 여자, 전압변동률) | 6.7 | ||
변압기의 손실 및 효율 | 3.7 | ||
변압기의 결선(극성, 3상, 2상, 6상) | 3.9 | ||
변압기의 병렬운전 | 1.3 | ||
특수 변압기(단권, 3권선, Tap절환, 변성기) | 2 | ||
극성시험, 온도상승시험 | 0.6 | ||
절연내력시험(변압기유), 보호방식 | 1.1 | ||
유도기 | 유도전동기의 원리(회전자계) | 1.5 | 23 |
유도전동기의 구조(농형, 권선형) | 0.6 | ||
3상 유도전동기의 이론(슬립) | 2.2 | ||
유도기전력 및 전류, 입력, 손실, 출력 | 2.4 | ||
회전력(Torque) | 2.8 | ||
유도 전동기의 손실 및 효율 | 1.3 | ||
비례추이 및 원선도 | 3.3 | ||
유도전동기의 기동 | 2.2 | ||
이상기동현상 | 0.7 | ||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법 | 3.1 | ||
역률개선, 제동, 시험 | 0.4 | ||
특수농형 3상 유도전동기 | 0.4 | ||
단상 유도전동기 | 1.3 | ||
유도전압조정기 | 0.7 | ||
정류기 | 다이오드의 특성 및 종류(정류기 종류) | 1.7 | 8.9 |
다이오드 정류회로 | 3 | ||
사이리스터 | 2.6 | ||
SCR의 위상 제어 및 정류 | 1.1 | ||
수은정류기, 회전변류기 | 0.6 | ||
특수기기 | 리니어 모터 특성 | 0.6 | 6.7 |
스테핑 모터의 특성 | 0.9 | ||
단상 직권 정류자전동기 | 1.9 | ||
3상 직권 정류자전동기 | 1.3 | ||
3상 분권 정류자전동기 | 0.2 | ||
단상 반발전동기 | 0 | ||
정류자형 주파수 변환 | 0.4 | ||
서보모터 | 1.1 | ||
인버터 | 0.4 |
구분 | 단원 | 단원별 출제율(%) | 장별 출제율(%) | |
---|---|---|---|---|
회로이론 | 직류회로의 이해 | 전압과 전류 | 0.3 | 2.3 |
전기저항과 옴의 법칙 | 0 | |||
전력과 줄의 법칙 | 0.4 | |||
저항 접속법 | 1.3 | |||
배율기와 분류기 | 0 | |||
△-Y결선의 등가변환 | 0.4 | |||
단상 교류 회로의 이해 |
단상 교류의 발생 | 0 | 9.5 | |
교류의 크기 표시 방법 | 2.2 | |||
단일 회로 소자 | 1 | |||
복소수와 교류회로의 해석 | 0.3 | |||
임피던스 회로 해석 | 1.9 | |||
전력, 역률, 공진, 전압확대율 | 3.6 | |||
벡터궤적 | 0 | |||
인덕턴스 접속법 | 0.5 | |||
다상 교류 회로의 이해 |
평형 3상 교류의 발생 | 0 | 6 | |
평형 3상 회로의 특징 | 4.1 | |||
3상 전력 측정법 | 1.3 | |||
불평형 3상 회로 해석 | 0.6 | |||
비정현파 교류회로의 이해 |
고조파의 푸리에 급수 해석 | 0.9 | 3.6 | |
비정현파의 실효값과 전력 | 1.2 | |||
비정현파 회로 해석 | 1 | |||
고조파 관리기준 | 0.5 | |||
고조파의 분류와 특성 | 0 | |||
대칭좌표법 | 대칭좌표법의 개요 | 3.1 | 3.5 | |
대칭 좌표법에 의한 고장계산 | 0.4 | |||
회로망 해석 | 기하학적 회로망 | 0 | 2.8 | |
회로망 해석 | 2.8 | |||
4단자망 회로 해석 | 2단자망 회로 | 2.3 | 5.9 | |
4단자망 회로 | 3.1 | |||
영상 파라미터 | 0.5 | |||
여과(Fiter) 회로 | 0 | |||
분포정수 회로 | 기초 방정식 | 4.5 | 4.6 | |
진행파의 반사계수와 투과계수 | 0.1 | |||
과도현상 | R-L 직렬회로 | 2.1 | 4.6 | |
R-C 직렬회로 | 1.4 | |||
R-L-C 직렬회로 | 0.5 | |||
기타 회로 | 0.6 | |||
라플라스 변환 | 라플라스 변환 | 1.4 | 5.9 | |
시간추이의 정리 | 1.5 | |||
초기값과 최종값의 정리 | 0.6 | |||
라플라스 역변환 | 2.1 | |||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 해석 | 0.3 | |||
제어공학 | 자동제어의 개요 | 피드백 제어계의 구성 | 1.3 | 4.5 |
제어계의 분류 | 1.2 | |||
조절부 동작에 의한 분류 | 1.5 | |||
제어시스템과 제어기기 | 0.5 | |||
전달함수 | 전달함수 | 3.3 | 11.7 | |
보상기 | 0.8 | |||
물리계통의 전기적 유추 | 0.4 | |||
블록선도와 신호흐름선도 | 6.7 | |||
연산증폭기 | 0.5 | |||
시간 영역 해석법 | 제어 시스템의 시간영역응답 | 1.9 | 6.7 | |
편차와 감도 | 1.4 | |||
과도응답의 해석 | 3.3 | |||
주파수 영역 해석법 | 주파수 응답과 주파수 전달함수 | 0.5 | 3.8 | |
벡터 궤적 | 1.3 | |||
보드 선도 | 1.2 | |||
주파수 응답 특성에 관한 상수 | 0.9 | |||
안정도 판별법 | 루스-후르비쯔 안정도 판별법 | 4.6 | 8.1 | |
나이퀴스트 안정도 판별법 | 0.9 | |||
보드선도에 의한 안정도 판별법 | 2.6 | |||
근궤적법 | 근궤적의 성질 | 2.1 | 4.4 | |
근궤적의 점근선 작도 | 1.2 | |||
실수축상의 근궤적 결정 | 0.3 | |||
근궤적의 이탈점 | 0.6 | |||
근궤적의 허수축과 교차점 | 0.3 | |||
상태방정식 | 상태방정식 | 2.4 | 7.6 | |
천이행렬 | 0.8 | |||
Z변환 | 4.4 | |||
시퀀스 회로의 이해 | 시퀀스 회로의 개요 | 0.3 | 4.6 | |
제어용 기기 | 0.1 | |||
유접점 기본회로 | 0.3 | |||
논리회로 | 4 |
구분 | 단원 | 단원별 출제율(%) | 장별 출제율(%) |
---|---|---|---|
총칙 및 절연과 접지 | 통칙 및 기술기준 | 1.3 | 15 |
전압, 및 전선 | 0.7 | ||
전로의 절연(절연저항, 절연내력시험, 연료전지, 태양전지) | 6.1 | ||
* 접지공사 | 4.1 | ||
혼촉에 의한 위험방지 시설, 가공공동지선 | 1.7 | ||
계기용변성기의 2차측 전로의 접지 및 전로의 중성점접지 | 1.1 | ||
발·변전소 기계기구 시설보호 |
기계 기구의 시설 | 2.2 | 11.7 |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 지락차단장치 | 1.5 | ||
피뢰기의 시설 | 0 | ||
특별고압전로의 상 및 접속 상태의 표시 | 0.2 | ||
기기의 보호장치 | 3.1 | ||
측장치 및 주요설비 | 4.6 | ||
전선로 | 가공전선로(종류, 승탑방지, 유도장해) | 2.6 | 39.8 |
가공전선로에 가해지는 하중(풍압하중, 안전률) | 5.4 | ||
가공전선로 시설 | 7.6 | ||
보안공사(고저압, 특고압) | 3.1 | ||
이격거리(다른시설물과의 이격거리, 보호망) 옥측전선로 | 7.2 | ||
시가지 등에서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시설 | 2 | ||
가공전선과 가공 약전류 전선과의 공가, 철탑의 종류 | 2.4 | ||
인입선 | 1.9 | ||
25 kV 이하인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시설 | 1.9 | ||
지중 전선로 | 4.6 | ||
터널 안 전선로의 시설, 수상전선로 | 1.1 | ||
전력보안통신설비 | 전력보안통신설비 | 3.1 | 3.1 |
전기사용장소 시설 | 옥내의 일반적 사항(대지전압, 조명) | 5 | 26.1 |
간선과 분기회로 | 2.8 | ||
저압 옥내배선의 시설장소별 공사의 종류 | 8 | ||
옥내배선공사 기타 시설 | 3.5 | ||
특수시설 | 6.9 | ||
전기철도 | 전기철도 | 4.3 | 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