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시험일정
구분 | 필기원서접수 (휴일 제외) |
필기 시험 |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
실기원서접수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 |
---|---|---|---|---|---|---|
제1회 | 1.6 (월) ~ 1.9 (목) |
1.21 (화) ~ 1.25 (토) |
2.6 (목) | 2.10 (월) ~ 2.13 (목) |
3.15 (토) ~ 4.2 (수) |
4.18(금) |
제2회 | 3.17 (월) ~ 3.21 (금) |
4.5 (토) ~ 4.10 (목) |
4. 16 (수) | 4.21 (월) ~ 4.24 (목) |
5.31 (토) ~ 6.15 (일) |
7.4(금) |
산업 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및 특성화고 등 필기시험 면제자 검정 (일반 필기시험 면제자 응시불가) |
5.19 (월) ~ 5.22 (목) |
6.14 (토) ~ 6.24 (화) |
7.25(금) | |||
제3회 | 6.9 (월) ~ 6.12 (목) |
6.28 (토) ~ 7.3 (목) |
7. 16(수) | 7.28 (월) ~ 7.31 (목) |
8.30 (토) ~ 9.17 (수) |
9.30(화) |
제4회 | 8.25 (월) ~ 8. 28 (목) |
9.20 (토) ~ 9.25 (목) |
10. 15(수) | 10.20 (월) ~ 10.23 (목) |
11.22 (토) ~ 12.10 (수) |
12.24(수) |
※ 원서접수 시간: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의 09:00
※ 세부 일정은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www.q-net.or.kr) 참조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란?
-
IT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기계제도 분야에서도 컴퓨터에 의한 설계 및 생산시스템(CAD/CAM)이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CAD/CAM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고 응용할 수 있는 인력은 기계산업 분야에서 언제나 필수적입니다. 이에 따라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자격은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산응용 기계제도분야의 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제정된 자격이다.
- 수행업무
-
CAD시스템을 이용하여 도면을 작성하거나 수정, 출도를 하며 부품도를 도면의 형식에 맞게 배열하고 단면 형상의 표시 및 치수 노트를 작성. 또한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부품의 전개도, 조립도, 재단도, 유압회로, 전기회로, 배관회로 등을 제도하는 업무 수행
- 자격증 관계도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
전자·컴퓨터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기계제도 분야에서도 컴퓨터에 의한 설계 및 생산시스템(CAD/CAM)이 광범위하게 이용되면서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산응용 기계제도분야의 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제정하였다. 인문계 고등학교의 기계과, 정밀기계과, 전산응용기계과, 전산이용설계과 등과 직업전문학교 또는 기술계 학원을 통해 자격시험준비를 할 수 있다. |
기계설계산업기사 |
기계설계 기술 분야에서 산업체 자체의 생산제품에 적합한 패키지의 설계, 수정, 보완 및 제품해석을 담당할 기계설계분야에 필요한 숙련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제정하였다. 주로 CAD시스템을 이용하여 기계도면을 작성하거나 도면의 변경, 출도를 하며 부품도를 도면의 형식에 맞게 배열하고, 단면 형상의 표시 및 치수 노트를 작성한다. 또한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부품의 전개도, 조립도, 재단도, 유압회로, 전기회로, 배관회로 등을 설계하며, 생산관리, 품질관리, 설비관리 등의 관리업무를 수행한다. |
일반기계기사 |
고도의 기술집약산업인 기계산업분야에 종사할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일반기계기사 제도가 제정되었다. 기계공학의 원리를 응용하여 자동차, 항공기, 선박, 철도 등과 관련한 각종 기계기구, 산업설비, 생산시스템 등을 설계, 생산하는 작업을 한다. 또한 공정관리, 품질관리, 생산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기계역학, 재료역학 및 공학, 공작법 등 기계에 관한 학문을 바탕으로 전 산업분야에서 주어진 동작으로 보다 능률적으로 완수할 수 있는 기계 및 기계구조물을 해석하고 설계하는 직무를 수행한다. |
기계기술사 |
기계제작 및 생산에 관한 공학이론을 갖추고 실무경험을 겸비하여 공정설계, 기계 및 생산 기술과 관련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하였다. 현장에서 기계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을 가지고 풍부한 실무경험에 입각하여 계획, 연구, 설계, 분석, 시험, 운영, 시공, 평가하는 작업을 행하며, 지도와 감리 등의 기술업무를 수행한다. |
- 진로
-
기계, 조선, 항공, 전기, 전자, 건설, 환경, 플랜트엔지니어링분야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한다. 최근 기계제도 분야에서는 CAD시스템 사용보편화와 CAD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전산응용기계제도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있으며,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부품의 전개도, 조립도, 재단도, 유압회로, 전기회로, 배관회로 등을 제도하는 직무를 수행한다.
- 전망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자격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계설계분야에서 요구 수요가 많은 자격으로 스마트팩토리, 3D 프린팅 등 첨단 제조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 자격증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이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건설, 환경,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여 폭넓은 경험을 쌓을 수 있으며 실무에서도 제품 개발 및 생산 과정에서 설계 도면은 필수적이므로, 본 자격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 우대사항 및 가산점
일반 기업
가산점 및 혜택 | 해당 직무 | 필수 자격조건 기업 또는 직무 |
---|---|---|
채용 시 가산점 부여 및 우대 일부 직무분야에서는 필수 자격조건 |
기계, 설비관련 연구, 개발직 / 기계관련 생산, 설계, 개발 등 관련 직군 |
고압용기, 탱크(tank)제작, 정밀측정, 응력해석(FEM) 및 시뮬레이션(CAE) 관련 기업 및 직무 |
*기업체의 채용 목적에 따라 상이함
공기업
가산점 및 혜택 | 해당 직무 | 필수 자격조건 기업 또는 직무 |
---|---|---|
필기시험에서 가산점 일부 직무분야에서는 필수 자격조건 |
기계직무관련 제작, 관리, 발주, 시공 관련 직군 |
서울에너지공사, 한국수력원자력, 각 지자체의 시설(관리)공단, 한국전력 등 |
기술직 공무원
가산점 및 혜택 | 해당 직무 |
---|---|
과목별 만점의 3% 가산점 | 9급 공업직, 일반기계 직렬 |
공업직 공무원
가산점 및 혜택 | 해당 직무 |
---|---|
과목별 만점의 3% 가산점 | 9급 공업직 (일반기계, 유도무기, 용접, 총포 등) |
직업능력개발 훈련교사 및 NCS 강사
가산점 및 혜택 | 해당 직무 |
---|---|
직업능력개발 훈련교사 선발 시 가산점 부여
NCS확인강사 점수에 가산점 반영 |
기계설계, 기계제작, 기계품질관리, 기계 설계 기획 등 기계관련 직종 |
*지원자 경력과 해당 직무에 따라 상이함
- 응시자격
-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다.
연령, 학력, 경력, 성별, 지역 등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 시험 과목 및 검정 방법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
---|---|---|
필기 |
기계설계제도
(기계제도/재료,측정) |
객관식 4지 택일형, 총 60문항
(총 1시간) |
실기 | 기계설계 제도실무 | 작업형 : 총 5시간 (100점) |
- 합격기준
합격기준 | 면제기준 | 주관처 | 출제기준표 |
---|---|---|---|
|
필기시험 합격자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 면제 |
한국산업인력공단 (Q-net.or.kr) |
2025 전산응용기계 제도기능사출제기준 다운로드 |
- 연도별 검정현황
연도 | 필기 | 실기 |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4 | 10,044 | 3,135 | 31.2% | 3,100 | 1,643 | 53% |
2023 | 10,180 | 3,135 | 30.8% | 3,234 | 1,620 | 50.1% |
2022 | 8,562 | 2,840 | 33.2% | 3,557 | 1,817 | 51.1% |
2021 | 10,856 | 5,435 | 50.1% | 5,464 | 2,475 | 45.3% |
2020 | 9,417 | 5,011 | 53.2% | 5,369 | 2,336 | 43.5% |
평균 | 9,812 | 3,911 | 39.7% | 4,145 | 1,978 | 48.6% |
출처 : 국가기술자격증 (Q-net)
- 필기/실기 합격률
- 학습플랜
- 과목별 학습전략
기계제도에서 학습하는 내용은 이후 2차 작업형 시험에서 도면을 작성하는 기술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과목입니다.
출제되는 문제는 투상, 기계제도 통칙, 공차 등 실제로 기계도면을 작성할 때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광범위하게 출제가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CAD시스템에 대해서 묻는 문제도 출제가 되고 있으므로 이 부분도 수험생의 입장에서는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출제되는 문제는 투상, 기계제도 통칙, 공차 등 실제로 기계도면을 작성할 때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광범위하게 출제가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CAD시스템에 대해서 묻는 문제도 출제가 되고 있으므로 이 부분도 수험생의 입장에서는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문제 난이도
난이도 | 대표적 유형 | 특징 |
---|---|---|
상 |
• 3D CAD와 2D CAD의 특징과 차이점에 대한 문제 • CAD시스템에서 좌표계와 좌표의 변환에 대한 문제 • 표준부품의 기호 및 의미를 묻는 문제 • 공차의 종류와 특징, 기호해석에 대한 문제 |
매 회차에서 신유형 문제가 일정한 비율로 출제가 되고 있음 |
중 |
• 기계제도에서 선의 종류와 특징을 묻는 문제 • 기계제도에서 숫자와 함께 사용하는 기호에 대한 문제 • 물체의 투상에 관련된 문제 • 특수 투상도에 관련된 문제 |
매 회 7문제~10문제 정도가 출제되고 있어서 많은 출제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하 |
• KS 산업규격에서 규정하는 제도 통칙에 대한 문제 • CAD의 의미와 특징에 대한 문제 • 기계도면의 종류 및 특징에 대한 문제 |
기계제도에 대한 KS규격 및 통칙에 대한 문제들은 꾸준하게 출제되고 있음 |
공략 방법
기계제도에서 출제가 되는 문제는 크게 보면 모두 기계도면 안에서 볼 수 있는 문제들입니다.
실기시험을 준비하게 되는 시점에서는 누구든지 인정하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기계제도 부분에서 넉넉한 점수를 획득한 수험생
이라면 2차 실기시험 준비가 조금은 더 수월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무에 진출해서 가장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과목이기도 합니다.
실기시험을 준비하게 되는 시점에서는 누구든지 인정하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기계제도 부분에서 넉넉한 점수를 획득한 수험생
이라면 2차 실기시험 준비가 조금은 더 수월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무에 진출해서 가장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과목이기도 합니다.
기계재료 및 측정이라는 과목명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지만 최근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시험에서 기계제작법이라는 과목이
여기에 흡수된 것과 같은 경향을 보입니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이 과목은 기계재료, 기계제작법, 측정이 하나로 묶여 있는 것으로 보면 더 정확할 것 같습니다.
여기에 흡수된 것과 같은 경향을 보입니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이 과목은 기계재료, 기계제작법, 측정이 하나로 묶여 있는 것으로 보면 더 정확할 것 같습니다.
문제 난이도
기계재료 및 측정에서는 워낙 범위가 넓기 때문에 다양한 문제가 출제가 되고 있으며 대부분 중, 하 수준의 난이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문제난이도 자체를 나누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대신, 어떤 부분에서 어떤 문제가 출제가 되는지 파악하고 정리를 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때문에 문제난이도 자체를 나누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대신, 어떤 부분에서 어떤 문제가 출제가 되는지 파악하고 정리를 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문제 출제 기준
과목명 | 주항목 | 세부항목 |
---|---|---|
기계재료 및 측정 | 요소부품 재질선정 |
• 요소부품 재료파악 • 최적요소부품 재질 선정 • 요소부품 공정검토 • 열처리 방법 결정 |
기본 측정기사용 |
• 작업계획 파악 • 측정기 선정 • 기본 측정기 사용 |
*문제 출제기준은 NCS 표준직무의 능력단위애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2D, 3D CAD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도면을 작성하고 제출해야 하는 시험으로, 약 5시간 정도 되는 시험시간 안에 주어진 과제에 대한 부품도면과 모델링 도면을 작성하고 이 2개의 도면을 제출해야 하는 시험입니다. 여기에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실기시험에서는 각 부품의 “질량을 산출”해서 도면에 기입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질량산출 이외에 기계부품을 도면에 나타내는 방법은 일반기계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작업형 실기시험과 유사합니다.
문제 특징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작업형 시험은 아래의 [과제도면 예시]와 같은 도면을 주고 해당 과제에서 지정하는 특정 부품에 대한 2D 부품도와 3D 모델링 도면을 그려서 제출해야 하고 일부 부품에서 설계변경을 요구합니다.
과제도면에서는 기본적으로 투상도 3개와 필요한 경우 부분확대도 등이 그려져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투상도가 2개만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유의하셔야 합니다.
과제도면에서는 기본적으로 투상도 3개와 필요한 경우 부분확대도 등이 그려져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투상도가 2개만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유의하셔야 합니다.

[과제도면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