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글쓰기

시험일정 및 시험 시간
회차 접수 기간 시험일 성적 발표일
111회 24. 12. 16 (월) ~ 25. 1. 6 (월) 25. 01. 18 (토) 25. 02. 18 (화)
112회 25. 2. 10 (월) ~ 25. 3. 3 (월) 25. 3. 15 (토) 25. 4. 15 (화)
113회 25. 4. 14 (월) ~ 25. 5. 5 (월) 25. 5. 17 (토) 25. 6. 17 (화)
114회 25. 6. 16 (월) ~ 25. 7. 7 (월) 25. 7. 19 (토) 25. 8. 19 (화)
115회 25. 8. 18 (월) ~ 25. 9. 8 (월) 25. 9. 20 (토) 10.22 (화)
116회 25. 10. 13 (월) ~ 25. 11. 3 (월) 25. 11. 15 (토) 25. 12. 16 (화)
117회 25. 12. 15 (월) ~ 2026. 1. 5 (월) 26. 1. 17 (토) 26. 2. 17 (화)
시험접수
홈페이지(www.klata.or.kr)에서 접수 (방문 접수, 우편 접수 불가)
응시대상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외국인 등록증, 거소증 중 한 가지를 소지한 외국인 응시 가능)
응시지역
서울, 인천, 수원, 부산, 창원, 진주, 울산, 대구, 구미, 광주, 전주, 대전, 천안, 청주, 원주, 제주, 순천, 목포 등 18개 권역에서 실시
응시료 : 55,000원
시험시간 : 10:00 ~ 13:20
시간 진행내용
09:10 ~ 09:30 수험자 입실(9:30분 이후 입실 금지)
09:30 - 09:45 수험자 좌석 확인 및 특이사항 발생 시 처리
09:45 - 09:50 감독관 입실 / 수험자 주의사항(신분증) 안내
09:50 - 10:00 1교시 답안지 작성 / 1교시 문제지 배부
10:00 - 11:30 1교시 시험 진행(객관식 50문항, 서술형 5문항(1번~5번))
11:30 - 11:45 쉬는 시간
11:45 - 11:50 92교시 답안지 작성 / 2교시 문제지 배부 및 파본 검사
11:50 - 13:20 2교시 시험 진행(서술형 5문항(6번~10번))
실용글쓰기 개요
국어사용능력을 바탕으로 전 국민의 직무 능력 향상과 의사소통 능력 증진을목적으로 하는 국가공인을 받은 국내 유일 글쓰기 자격시험이다. 국어사용을 촉진하고 국어발전과 보전의 기본을 마련하여 국민의 창조적 사고력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자격의 종류 국가공인 민간자격(1급,2급,준2급,3급,준3급)
자격발급기관 한국국어능력평가협회
검정(응시)료 55,000원(카드 자격증은 신청자 별도 부담)
국가공인의 유효기간 성적발표일로부터 2년 (채택기관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실용글쓰기 정보 더 알아보기]
실용글쓰기 등급표
등급 검정기준
1급 글쓰기 의사소통 전문가로 자신이 속한 어떠한 직무상황에서도
직무관련 글과 문서를 막힘없이 작성할 수 있다.
글쓰기 일반, 글쓰기 실제, 사고력, 글쓰기 윤리 등의 검정과목을 막힘없이 수행할 수 있다.
2급 자신이 속한 직무에 글쓰기 의사소통 관련 책임자로 관련 문서를 능숙하게 작성할 수 있다.
글쓰기 실제, 사고력, 글쓰기 윤리 등의 검정과목을 우수하게 수행할 수 있다.
준2급 사무 및 기술 계통의 실무 책임자로 직무 관련 문서를 규범에 맞게 작성할 수 있다.
글쓰기 실제, 사고력, 글쓰기 윤리 등의 검정과목의 수행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3급 현장실무자로 직무 수행에 필요한 글쓰기 능력을 갖추고 있어
직무문서를 규정에 맞게 작성할 수 있다.
글쓰기 실제, 사고력, 글쓰기 윤리 등의 검정 과목의 수행방법을 이해하고 있다.
준3급 현장 실무자에게 요구되는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고 있어
직무상 요구하는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글쓰기 실제, 사고력, 글쓰기 윤리 등의 검정과목의 수행방법을 알고 있다.
합격기준
등급 합격기준 비고
1급 총 배점(1,000점) 중 870점 이상 득점 - 공통 시험문제 출제
- 취득점수에 따라 급수 결정
2급 총 배점(1,000점) 중 790점 이상 득점
준2급 총 배점(1,000점) 중 710점 이상 득점
3급 총 배점(1,000점) 중 630점 이상 득점
준3급 총 배점(1,000점) 중 550점 이상 득점
경찰 공무원 가산점
기준 750점 이상 630점 이상 550점 이상
가산점 5점 4점 2점
소방 공무원 가산점
기준 750점 이상 630점 이상 550점 이상
가산점 5점 4점 2점
2017 ~ 2021 실용글쓰기 응시인원 및 합격자 현황
구분 응시인원 합격자수(3급기준) 합격률(3급기준)
2021 30,035 7,180 23.91%
2020 24,560 5,696 23.19%
2019 27,605 6,594 23.89%
2018 30,529 5,730 18.77%
2017 33,378 6,825 20.45%
실용글쓰기 학습 플랜 - 7일 완성
실용글쓰기 샘플강의 보기 > 실용글쓰기 7일만에 완성하기
강의만족도 만점 교수의 [실용글쓰기] 전략
실용글쓰기 파트별 출제경향 분석
글 구상과 표현
출제 비중 : 28%
객관식 50문항 중 14문제가 출제됩니다. 글쓰기 계획하기 단원에서는 글을 쓰기 전 단계에서 어떤 주제와 목적으로 글을 쓸지 계획하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독해력으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로, 지문을 차분히 읽고 선택지와 내용을 잘 대조하며 풀면 됩니다.
단어, 문장, 문단 쓰기 단원에서는 글의 빈칸에 들어갈 단어와 문장을 찾을 수 있는지 묻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교재 핸드북인 ‘고득점 공략노트’와 함께 중요 이론을 함께 학습하세요.
단어,문장,문단 다듬기 단원에서는 적절하지 않은 단어를 고칠 수 있는지, 문장과 문단 배열을 올바르게 할 수 있는지 묻는 문제들이 출제됩니다. 자연스럽지 못한 부분을 올바르게 고치는 연습을 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직무 글쓰기와
공학ㆍ기술 글쓰기
출제 비중 : 44%
객관식 50문항 중 22문제가 출제됩니다.
직무 글쓰기 문제는 정의 또는 작성 방법을 묻거나 작성 배경을 묻는 문제, 수정 및 보완하는 문제 등이 출제됩니다. 세부 내용을 파악해야 하므로 독해 연습이 꼭 필요합니다.
공학 및 기술 문서 관련 문제는 내용과 형식이 다소 생소할 수 있으나 내용을 파악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난도로 출제되므로 차분하게 문제를 읽는 것이 중요합니다.
직업기초능력
출제 비중 : 24%
객관식 50문항 중 12문제가 출제됩니다.
조직이해는 업무 특성 및 수행과 관련된 문제, 조직경영 관련 문제가 출제됩니다.
기본적인 개념을 학습해 두면 쉽게 풀 수 있습니다.
대인관계는 팔로워십, 팀워크 관련 문제로 지문을 토대로 푸는 문제가 많아 정확한 독해를 요합니다.
자원관리에서는 예산, 시간, 인적 자원 관리의 방법을 묻는 문제가 출제되므로 관리법에 대한 개념을 학습해 두면 도움이 됩니다.
수리ㆍ자료 활용 단원에서는 방정식 계산이나 도표 작성법을 묻는 문제가 나오므로 기본적인 작성법을 학습해 두어야 합니다.
문제해결 단원은 업무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 유형을 파악해야 합니다. 여러 기준으로 분류되는 문제의 유형과 특징을 알아 두면 도움이 됩니다.
화법과 글쓰기에서는 화법의 원리를 바탕으로 지문을 해석해야 합니다. 기본적인 화법의 원리에 대한 개념 학습이 필요합니다.
직업 윤리ㆍ글쓰기 윤리
출제 비중 : 4%
객관식 50문항 중 2문제가 출제됩니다.
직업 윤리 단원에서는 기본 원칙 파악 문제, 직장 예절을 묻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지문을 꼼꼼하게 읽고 세부내용을 파악하는 독해 연습이 필요합니다.
글쓰기 윤리 단원에서는 저작권 관련 문제가 출제됩니다. 저작권법 관련 용어나 기초적 내용을 학습해 두면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단어ㆍ문장ㆍ문단 쓰기
출제 비중 : 90%
주관식 10문항 중 9문제가 출제됩니다.
단어 쓰기 단원에서는 지문을 읽고 문맥에 적절한 단어를 쓰거나 잘못된 부분을 어법에 맞게 고쳐 쓰는 문제 등이 출제됩니다. 지문을 꼼꼼히 읽으면서 단어가 쓰인 맥락을 파악하는 연습을 하고, 반복되는 핵심어에 표시하면서 지문을 읽으면 도움이 됩니다.
문장 쓰기 단원에서는 지문의 빈칸에 들어갈 문장을 쓰는 문제, 지문을 읽고 조건에 맞는 문장을 쓰는 문제 등이 출제됩니다. 조건에서 구체적 문장의 형식을 제시하는 경우, 조건에 맞는 문장을 쓰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문단 쓰기 단원은 직무 문서 중간에 빈 문단을 써서 글을 완성하는 문제입니다. 지문의 앞뒤 맥락을 파악하고 핵심어를 포함해 문단을 작성해야 하므로, 지문을 정확히 독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실용문 쓰기
출제 비중 : 10%
주관식 10문항 중 1문제 출제됩니다.
한 편의 실제 실용문을 작성하는 문제입니다. 이때 글을 작성하기 위한 자료로 개요, 짧은 글, 도표 등이 함께 제시되므로, 글쓰기 자료로 제시된 내용을 차근차근 읽고 해석해야 합니다.
또한 원고지에 긴 글을 작성해야 하므로, 곧바로 답안을 쓰지 않고 답안에 작성할 내용을 시험지에 적어 검토한 후, 원고지에 옮겨 쓰면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가장 높은 배점인 200점 짜리 문제인 만큼, 시간 배분을 잘해서 높은 점수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용글쓰기 파트별 출제 비중
close

TOP ▲
패밀리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