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정보

자격증 정보 - 소방설비기사

2025년 시험일정
구분 필기원서접수
(휴일 제외)
필기 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응시자격 기준일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
제1회 1.13 (월)
~1.16 (목)
2.7 (금)
~3.4 (화)
3. 12(수) 3. 4(화) 3.24 (월)
~3.27 (목)
4.19 (토)
~ 5.9 (금)
6.13 (금)
제2회 4.14 (월)
~ 4.17 (목)
5.10 (토)
~ 5.30 (금)
6. 11(수) 5. 30(금) 6.23 (월)
~ 6.26 (목)
7.19 (토)
~ 8.6 (수)
9.12 (금)
제3회 7.21 (월)
~ 7.24 (목)
8.9 (토)
~ 9.1 (월)
9. 10(수) 9. 1(월) 9.22 (월)
~ 9.25 (목)
11.1 (토)
~ 11.21 (금)
12.24 (수)

※ 원서접수 시간: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의 09:00
※ 세부 일정은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www.q-net.or.kr) 참조

소방설비기사란?
건물이 점차 대형화, 고층화, 밀집화되어 감에 따라
화재 발생 시 진화보다는 화재의 예방과 초기진압에 중점을 둠으로써,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따라 소방설비에 대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된 자격증이다.
수행 업무
소방설비기사는 소방시설공사 또는 정비업체 등에서 소방시설공사의 설계도면을 작성하거나
소방시설공사를 시공, 관리하며, 소방시설의 점검·정비와 화기의 사용 및 취급 등
방화안전관리에 대한 감독, 소방계획에 의한 소화, 통보 및 피난 등의 훈련을 실시하는 방화관리자의 직무를 수행한다.
자격증 관계도
소방설비산업기사 소방설비산업기사 시험은 소방시설공사 설계도면 작성, 소방시설공사 시공/관리 및 방화안전관리에 대한 기초를 다루며 기사, 기술사 시험 응시에 도움을 준다.
소방설비기사 산업기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 기능과 이론 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사시험 응시 자격이 주어진다.
소방기술사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산업기사는 5년, 기능사는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소방설비와 관련된 실무경험과 고도의 전문지식, 응용능력을 바탕으로 기술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전망

산업구조의 대형화 및 다양화로 소방대상물(건축물·시설물)이 고층·심층화되고, 고압가스나 위험물을 이용한
에너지 소비량의 증가 등으로 재해발생 위험요소가 많아지면서 소방과 관련한 인력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소방설비 관련 주요 업무 중 하나인 화재관련 건수와 그로 인한 재산피해액도 당연히 증가할 수 밖에 없어
소방관련 인력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 진출 분야

① 소방공사, 대한주택공사, 전기공사 등 정부투자기관으로 진출할 수 있다.
② 각종 건설회사, 소방전문업체 및 학계, 연구소로 진출이 가능하다.
③ 소방공무원, 소방 관련 공공기관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우대 사항 및 가산점 혜택
우대 사항 및 가산점 혜택
우대사항 가산점 혜택
표준 교육과정 해당 전공 학점 인정
- 소방설비기사 20(30)학점, 소방설비산업기사 16(24)학점
* 전문학사: 건축물관리, 기계, 안전공학, 화학공업
* 학사: 건축설비학, 기계공학, 소방학, 안전공학, 화학공학

* 괄호 학점은 2009년 3월 1일 이전 취득한 자격에 한해 인정 
ⓐ 한국산업인력공단 일반직 5급 채용 시
필기시험 만점에 가산점 6% 부여

ⓑ 6급 이하 기술직 공무원 채용 시 가산점 최대 5% 부여
- 7급 공무원 : 소방설비기사 5%, 소방설비산업기사 3%
- 9급 공무원 : 소방설비기사/산업기사 5%

ⓒ 소방공무원 채용 시 가산점 최대 3% 부여
- 소방설비기사 3%, 소방설비산업기사 1%

ⓓ 소방 분야 공공기관 및 일반 기업 채용 시 가산점 부여

* 공무원 가산점 : 각 과목 만점의 40% 이상 득점한 자에 한하여 각 과목별 득점에 각 과목별 만점의 일정비율에 해당하는
점수 가산 자격증,사무관리 등 가산점은 분야별로 유리한 것 1개(서로 다른 2개 분야는 합산), 최대 5%까지 인정

원서접수 방법
원서접수 방법
필기 - Q-net을 통한 인터넷 원서접수
- 필기접수 기간 내 수험원서 인터넷 제출
- 사진(6개월 이내에 촬영한 3.5cm*4.5cm, 120*160픽셀 사진파일(JPG) 수수료 전자결제
- 시험장소 본인 선택(선착순)
실기 - 실기접수 기간 내 수험원서 인터넷(www.Q-net.or.kr) 제출
- 사진(6개월 이내에 촬영한 3.5cm*4.5cm픽셀 사진파일JPG, 수수료(정액)
- 시험일시, 장소 본인 선택(선착순)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입니다.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입니다.
※시험 접수일 접속 폭주 방지를 위하여 지역별 접수 날짜가 상이한 경우가 존재하니, 접수 일정 전에 공지되는 해당 회차 수험자 안내를 필수로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크롬 사용자의 경우 결제 시 오류가 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미리 확인 혹은 다른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응시료
응시료
구분 소방설비기사 소방설비산업기사
필기 19,400원 19,400원
실기 22,600원 20,800원
응시 자격
응시 자격
구분 소방설비기사 소방설비산업기사
자격소지 · 산업기사 이상 취득 후 실무 1년 이상
· 기능사 이상 취득 후 실무 3년 이상
· 다른 종목의 기사 이상 자격 취득자
· 외국에서 동일 종목 자격을 취득한 자
· 기능사 이상의 취득 후 실무 1년 이상
· 다른 종목의 산업기사 이상 자격 취득자
· 외국에서 동일 종목 자격을 취득한 자
관련학과 전공자 · 대학의 관련학과의 졸업(예정)자
· 3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 후 실무 1년 이상
· 2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 후 실무 2년 이상
· 대학의 관련학과의 졸업(예정)자
· 관련학과의 2년제 전문대학졸업(예정)자
· 관련학과의 3년제 전문대학졸업(예정)자
기술훈련과정 이수 · 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예정)자
·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 후 실무 2년 이상
·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예정)자
순수 경력자 ·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실무 4년 이상 ·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실무 2년 이상

■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소방학, 건축설비공학, 기계설비학, 가스냉동학, 공조냉동학 관련학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방송, 건설, 기계, 재료, 정보통신,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시험 과목
시험 과목 및 검정 방법
시험과목 소방설비기사(전기) 소방설비기사(기계)
필기 ① 소방원론
② 소방전기일반
③ 소방관계법규
④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① 소방원론
② 소방유체역학
③ 소방관계법규
④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실기 소방전기시설 설계 및 시공 실무 소방기계시설 설계 및 시공 실무

* 소방설비기사 시험과 소방설비산업기사 시험과목은 동일함

검정 기준 · 검정 방법
검정 기준 · 검정 방법
구분 소방설비기사 소방설비산업기사
검정기준 해당 국가기술자격의 종목에 관한 공학적 기술이론 지식을 가지고 설계·시공·분석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검정합니다. 해당 국가기술자격의 종목에 관한 기술기초이론 지식 또는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복합적인 기초기술 및 기능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검정합니다.
검정방법 · 필기: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과목당 20문제가 출제되며, CBT 방식으로 시행됩니다.
· 실기: 필답형으로 출제됩니다.
합격기준
합격기준
합격기준 면제기준 주관처 출제기준표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 합격자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 면제
한국산업인력공단
(Q-net.or.kr)
  1. 소방설비기사(전기 분야)
    출제기준.hwp
    다운로드
  2. 소방설비기사(기계 분야)
    출제기준.hwp
    다운로드
CBT 시험 안내
개요
CBT(Computer Based Test) 시험 방식은 컴퓨터를 이용해 시험에 응시하는 방식으로서 기존 기사 시험과 같이 시험지와 OMR 카드를 활용하여 진행되던 PBT(Paper Based Test) 방식과는 달리 문제 확인, 정답 입력 및 성적 처리까지 모두 컴퓨터를 통해 이루어지는 방식입니다. 전기기사는 2022년 제3회 시험부터 CBT 방식이 적용되고 있기에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기존 시험 방식과의 비교
기존 시험 방식과의 비교
구분 CBT PBT
출제방식 · 문제은행 방식으로 출제
· 응시자별 문제가 모두 다름
· 출제자의 문제 제작 및 출제
· 모두 동일한 문제가 출제되며, 순서만 다름(A형/B형)
시험방식 · 컴퓨터 화면을 통해 문제 확인 및 클릭으로 정답 입력
· 정답 수정 시 클릭을 통해 곧바로 수정 가능
· 종이 문제지를 통해 문제 확인
· OMR 카드 마킹으로 답안지 기재
· 정답 수정 시 OMR 카드를 교체하여 다시 기입
합격확인 · 시험 직후 결과 및 합격 여부 확인이 가능 · 시험 이후 일정 기간(2주 정도)이 소요됨
CBT 시험 응시 TIP
① 컴퓨터 화면을 통해 문제를 확인합니다.
② 남은 시간 및 풀지 않은 문제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③ 문제의 정답을 클릭하여 마킹합니다. 위치가 혼동될 경우 문제의 보기를 직접 클릭하여도 동일하게 마킹됩니다.
④ 계산이 필요한 경우 ‘공학용 계산기’를 클릭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
⑤ 모든 답안을 완성한 후 ‘제출하기’ 버튼을 눌러 답안지를 제출합니다. 답안 제출과 동시에 취득 점수 및 합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BT 모의고사 무료로 응시하기
기사자격증 접수 상위 5종목 응시 현황 (단위 : 명)
기사자격증 접수 상위 5종목 응시 현황 (단위 : 명)
연도 2020 2021 2022
순위 종목명 접수인원 종목명 접수인원 전년 대비
증가율
종목명 접수인원 전년 대비
증가율
1 전기기사 120,436 정보처리기사 140,170 ▲27.42 정보처리기사 142,649 ▲1.77%
2 정보처리기사 110,009 전기기사 122,723 ▲1.9 산업안전기사 121,714 ▲30.26
3 산업안전기사 76,030 산업안전기사 93,439 ▲22.9 전기기사 115,452 ▼5.92
4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53,547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60,939 ▲13.8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65,055 ▲6.75
5 건축기사 40,774 건축기사 48,152 ▲18.09 건설안전기사 57,884 ▲55

출처: 국가기술자격통계연보(Q-net)

연도별 검정현황
소방설비기사 연도별 검정현황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3 32,202 15,919 49.4% 20,843 8,679 41,6%
2022 26,517 11,902 44.9% 21,427 9,075 42.4%
2021 27,083 12,483 46.2% 19,311 6,687 34.6%
2020 21,749 11,711 53.8% 19,248 8,991 46.7%
2019 26,112 13,706 52.5% 17,499 8,086 46.2%
2018 24,127 7,580 31.4% 11,503 6,262 38.0%
필기/실기 합격률

연도별 검정현황
소방설비기사 연도별 검정현황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3 23,350 10,669 45.7% 20,510 5,458 26.6%
2022 17,523 8,206 46.8% 15,080 2,346 15.6%
2021 17,736 9,048 51.0% 17,709 5,753 32.5%
2020 14,623 7,546 51.6% 15,862 3,076 19.4%
2019 18,030 8,223 45.6% 12,024 3,620 30.1%
2018 15,757 4,515 28.7% 8,812 3,349 38%
필기/실기 합격률

학습플랜
과목별 학습전략
회독을 늘리는 학습 · 처음 학습할 때 잘 모르는 내용이 나와도 체크해 두고 넘어가며 가능한 회독을 늘리는 학습을 하는 것이 시험 합격에 더 유리하며 전체 내용을 최소 3회 이상 반복하여 학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때 매 회독 시마다 완전히 알고 있는 내용과 그렇지 못한 내용을 구분해 놓고, 다음 회독 시에는 정확하게 학습되지 않은 부분 위주로 학습하여 전체적인 학습의 분량과 학습 시간을 차츰 줄여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키워드 중심 학습 ·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주요 개념과 이론의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필기의 시험 과목은 모두 4개이고, 각 과목별 학습하고 암기해야 할 분량도 많은 편이므로 시험에 가까워질수록 학습의 분량을 차차 줄여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주요 내용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을 붙여나가며 학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해와 암기를
구분하여 학습
· 암기해야 할 내용과 이해해야 할 내용을 구분하여 학습할 필요가 있습니다.
· 법령, 주요 공식, 수치와 관련된 사항은 이미 정해져 있는 사항들을 문제에 적용하는 방식이므로 이해보다는 암기 위주의 학습이 필요합니다.
· 이론 및 절차와 같은 사항은 각 이론이 발생한 이유 또는 절차의 순서가 정해진 이유 등을 이해하는 학습이 필요합니다.
효율적인 학습 · 필기시험은 평균 60점 이상만 받으면 통과하는 절대평가 시험입니다. 따라서 고득점이 아닌 합격을 목표로 하여 보다 적은 시간에 효율적인 학습을 해야 합니다.
· 4개 과목 모두에 대해 고득점을 위한 학습을 하기보다는 고득점을 위한 전략과목을 1과목 정도 만들고, 나머지 과목은 합격을 위한 점수를 받는 정도로만 학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과락 주의 · 전체 4과목 중 한 과목이라도 과락(40점, 정답 8개 미만)이 나오면 나머지 과목에 대해 만점을 받더라도 불합격이 됩니다. 따라서 시험을 대비할 때 과락을 받지 않도록 각 과목별로 최소한의 학습은 하여야 합니다.
기출문제 학습 · 실기시험의 경우 필기시험에 비해 학습하여야 할 분량이 많고, 보다 깊이 있는 학습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기출문제를 위주로 하여 이론을 보충해 나간다면 어떠한 범위에서 문제가 자주 출제되고, 어떠한 방식으로 출제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의 효율성이 높아집니다.
문제 유형에 따른 학습 · 단답형으로 자주 출제되는 내용의 경우 암기 위주의 학습을 통해 실제 시험에서 답변할 내용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 계산문제 유형은 처음부터 끝까지 계산이 계속 연결되기 때문에 정확하게 풀이하는 방법을 학습하여야 하며, 기초적인 계산도 꼼꼼하게 할 수 있도록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강의 수강 · 실기시험의 경우 혼자 학습하는 것보다 강의를 수강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입니다. 강의를 수강하며 각 이론 및 공식이 어떠한 방식으로 문제에 출제되고,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를 보다 빠르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특히 혼자 학습하는 경우 각자의 실력이나 이해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에 강의를 수강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복 학습 · 주요 키워드 또는 공식에 대한 암기와 문제풀이는 가능한 많이 반복하는 학습이 필요합니다. 처음 암기 또는 문제풀이에 걸리는 시간은 많을 수 있지만, 지속적인 반복학습을 통해 정확도를 높이고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감점 주의 · 문제에서 묻는 단위 등을 주의하여야 합니다. 문제에서 묻는 내용을 잘 계산하고도 단위 환산을 잘못하거나 하지 않는 경우 감점을 당할 수 있습니다.
최근 5개년 소방설비기사 과목별 출제 비중
* 해커스 소방설비기사 교수진이 과년도 5개년 기출문항을 분석한 내용입니다.
김진성 선생님의 [소방원론] 출제경향 분석
* 2023년 가장 최근 시험에 대한 분석내용입니다.
2023년 1회차
전체난이도 : 하
기출문제에서 대부분 출제되었으며, 난이도가 쉬웠습니다. 기존 기출문제에서 지문 등을 변경한 새로운 문제가 일부 있었으나 크게 어려운 수준은 아니었으며, 전체적인 이론 학습이 되어 있었다면 쉽게 고득점을 받을 수 있었을 겁니다.
2023년 2회차
전체난이도 : 하
대부분의 문제가 기출문제에서 출제되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였기에 실수만 없었다면 어렵지 않게 고득점을 받을 수 있는 시험이었습니다.
2023년 4회차
전체난이도 : 하
대부분의 문제가 기줄문제에서 출제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이었습니다. 일부 새롭게 출제된 문제가 있었지만, 이론 학습이 충분히 되어 있었다면 간단하게 해결 가능한 문제였습니다. 전반적으로 고득점을 받기 쉬웠습니다.

김진성 선생님의 학습 TIP

소방원론 강좌 보러가기 >

· 소방원론은 소방과 관련한 전반적인 내용을 모두 담고 있는 과목으로서 연소, 화재, 소화, 위험물 및 건축물의 성상까지 모두 다루고 있습니다.

· 일상생활에서 접하기 힘든 용어가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용어에 빠르게 익숙해지는 것이 좋습니다.

· 전체적인 학습범위는 다소 넓지만, 출제되는 범위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전체 내용을 모두 이해하기보다는 주요 이론 및 키워드를 위주로 학습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입니다.

김진성 선생님의 [소방관계법규] 출제경향 분석
* 2023년 가장 최근 시험에 대한 분석내용입니다.
2023년 1회차
전체난이도 : 하
대부분의 문제가 기출문제에서 출제되었으며,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이었습니다. 일부 난도가 높게 출제된 문제가 있었지만, 기존 유형을 크게 벗어나지 않아서 어렵지 않게 해결이 가능했을 겁니다. 전체적인 난도는 낮은 편이었므로 어렵지 않게 고득점을 받을 수 있는 시험이었습니다.
2023년 2회차
전체난이도 : 하
대부분의 문제가 기출문제에서 출제되었으며,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이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실수만 없었다면 쉽게 고득점을 받을 수 있었을 거라고 추측합니다.
2023년 4회차
전체난이도 : 중
전반적으로 기출문제 위주로 출제되어 어렵지 않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험이었습니다. 특히 하위 법령(시행령, 시행규칙 등)의 세부 내용을 묻는 문제가 출제되어 앞서 시행된 시험에 비해서는 난도가 다소 높았습니다. 하지만 주요 키워드를 중심으로 꼼꼼하게 학습하였다면 해결할 수 있었을 겁니다.

김진성 선생님의 학습 TIP

소방관계법규 강좌 보러가기 >

· 소방관계법규는 낯선 용어와 많은 암기량으로 인해 수험생들이 어려워하는 과목 중 하나입니다. 가능한 한 많이 반복하여 학습하여야 하며, 꾸준한 암기를 필요로 하는 과목입니다.

· 특히 2022년 12월부터 「화재예방, 소방시설의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과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로 분리되어 전면 개정되어 시행되었고, 법령 개정으로 인해 전체적인 내용이 대폭 변경되었으므로 이 부분을 빠르게 파악하고 암기하는 학습이 필요합니다.

· 법률과 시행령 및 시행규칙상 세부적인 내용은 어떻게 변경되었는지에 유의하며 꼼꼼히 학습하여야 합니다.

김진성 선생님의 [소방전기일반] 출제경향 분석
* 2023년 가장 최근 시험에 대한 분석내용입니다.
2023년 1회차
전체난이도 : 중
기출문제를 변형하여 난도를 높인 문제와 기존 유형을 벗어난 신규 문제가 많이 출제되었습니다. 개념의 이해와 응용 없이 기출문제 위주의 학습을 했다면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었을 겁니다. 특히 계산문제가 많이 출제되어 더욱 까다롭게 느껴질 수 있었으리라고 봅니다.
2023년 2회차
전체난이도 : 상
기존에 출제되었던 기출문제보다 새로운 유형의 문제가 많이 출제되어 전체적인 난도가 높은 편이었습니다. 응용력을 요구하는 문제로 인해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시험이었습니다. 특히 이번 시험의 문제는 출제범위 전체에서 고르게 출제되었기 때문에 앞서 진행된 시험보다 체감 난도는 더욱 높았을 겁니다.
2023년 4회차
전체난이도 : 중
기출문제의 비중이 더 높아 쉽게 느껴질 수 있으나 개념의 이해와 응용을 요구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또한 계산문제의 비중이 일정 수준 이상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고 응용력을 요구하는 문제가 지속해서 출제되고 있기 때문에 공식을 적절히 응용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방법을 꾸준히 학습했다면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이었습니다.

김진성 선생님의 학습 TIP

소방전기일반 강좌 보러가기 >

· 소방전기일반은 현재까지 출제되던 유형이 아닌 새로운 유형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출제되고, 그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추세이므로 주요 이론의 이해와 기출문제의 반복학습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 계산문제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므로, 주요 공식의 암기와 함께 이를 응용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한 반복학습이 필요합니다.

· 계산문제 풀이 중 계산기의 사용 및 단위환산 등에 있어 실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김진성 선생님의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출제경향 분석
* 2023년 가장 최근 시험에 대한 분석내용입니다.
2023년 1회차
전체난이도 : 중
대부분의 문제가 기출문제에서 출제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이었습니다. 세부 기준과 관련하여 내용을 묻는 일부 문제로 인해 체감 난도는 다소 높을 수 있으나 전반적으로는 평이한 수준이었습니다.
2023년 2회차
전체난이도 : 하
대부분의 문제가 기출문제에서 출제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이었습니다. 난도가 높게 출제된 문제가 일부 있었지만, 기존 유형을 크게 벗어나지 않아서 어렵지 않게 해결이 가능했을 겁니다. 전체적으로 쉽게 고득점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2023년 4회차
전체난이도 : 중
기출에서 변형된 문제와 신규 문제가 일부 출제되었지만, 대부분 기출문제에서 출제되었기에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전체적으로 평이한 난도의 시험이었습니다.

·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는 대체적으로 암기 위주의 학습을 하여야 하며, 이 과목을 구성하고 있는 화재안전기준이 필기뿐만 아니라 실기에서도 높은 출제비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필기시험 대비 학습 시부터 이론과 기출문제 모두에 대한 지속적인 반복학습이 필요합니다.

· 실기와 매우 연관성이 큰 과목이므로 실기를 함께 준비한다면 보다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 화재안전기준은 일정한 주기없이 개정·시행되고, 시행되는 신규기준은 곧바로 시험에 출제되기 때문에 개정된 화재안전기준에 대한 내용이 있으면 가볍게라도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권대영 선생님의 [소방유체역학] 출제경향 분석
* 2023년 가장 최근 시험에 대한 분석내용입니다.
2023년 1회차
전체난이도 : 중
기출문제와 비슷한 문제가 많았으나 유체역학의 기본 원리나 방정식을 물어보는 문제가 몇 개 있었습니다. 이에 대비해야 합니다.
2023년 2회차
전체난이도 : 상
어려운 계산문제가 많았으며 열역학, 열전달 문제는 많지 않았습니다. 평소 계산 연습을 많이 하도록 합시다.
2023년 4회차
전체난이도 : 하
대체적으로 평이하였고 수문 모멘트 문제에서 특이한 게 있었습니다. 힘과 모멘트 부분은 여러 유형을 익히셔야 합니다.

권대영 선생님의 학습 TIP

소방유체역학 강좌 보러가기 >

· 소방유체역학은 기계공학과의 전공과목으로서 비전공자의 이해 및 고득점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개념과 공식을 이해해야 실전문제에서 강할 수 있습니다.

· 필기뿐만 아니라 실기에서도 가끔 소방유체역학 문제가 나오는 경우가 있어 무조건 공식만 외우지 말고 원리와 함께 학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권대영 선생님의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출제경향 분석
* 2023년 가장 최근 시험에 대한 분석내용입니다.
2023년 1회차
전체난이도 : 하
기출문제에서 대부분 출제되었으며 난도가 쉬웠습니다. 포소화설비의 호스릴방식을 유의해서 공부해야 합니다.
2023년 2회차
전체난이도 : 중
기출문제와 유사했습니다. 스프링클러설비를 자세히 공부해야 합니다.
2023년 4회차
전체난이도 : 상
간이스프링클러, 할론소화설비, 포헤드와 같이 자주 출제되지 않던 부분에서 출제되었습니다. 꼼꼼하게 학습하셔야 합니다.

· 실기를 대비하여 매우 중요한 과목이므로 꼼꼼하게 학습해야 합니다.

· 암기사항이 매우 많고 헷갈리기 쉬우므로 정확히 암기하는 학습이 필요합니다.

· 기출유형과 매우 비슷하게 나오기 때문에 기출문제를 위주로 학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 초보자는 소방시설에 익숙하지 않아 수험교재에 수록된 내용만으로는 이해가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해커스자격증 사이트 내 부가자료를 참고한다면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작동방법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게시판이름
번 호 구분 제 목 날짜
공지 기사자격증 2024년도 기사 제1회 필기시험 주요 안내사항 2024-01-23
공지 기사자격증 2024년도 국가기술자격 검정 시행계획 공고 2023-12-26
공지 기사자격증 모바일 큐넷(App) 휴대폰 인증 서비스 관련 안내 2023-08-07
공지 기사자격증 2023년 신설 종목(공간정보융합기능사 및 산업기사) 필기시험 예제문제 안내 2023-08-02
공지 기사자격증 큐넷 서비스 이용 관련 인터넷 브라우저 안내 2023-06-29
453 기사자격증 국가자격검정 인정신분증 범위 조정 안내(적용시작 2025. 01. 13.~) 2025-01-10
452 기사자격증 2025년 정기 기사 제1회 필기시험 시험장 사전 공개 2025-01-08
451 기사자격증 2025년도 국가기술자격시험 전자(통신)기기 관리 방안 안내 2025-01-06
450 기사자격증 2025년 기능사 제1회 필기시험 수험자 안내(수정) 2025-01-06
449 기사자격증 2025년도 기사 제1회 필기시험 원서접수 주요 안내사항 2025-01-06
448 기사자격증 2025년 기능장 제77회 필기시험 수험자 안내(수정) 2025-01-06
447 기사자격증 국가기술자격 응시자격서류 제출 유의사항 안내 2025-01-06
446 기사자격증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 합격자 면제기간 조정 알림 2025-01-06
445 기사자격증 국가기술자격법령 개정에 따라 2025년부터 변경되는 자격종목 안내 2025-01-06
444 기사자격증 2025년도 국가기술자격 상시검정 시행계획 공고 2025-01-06
TOP ▲
패밀리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