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정보

자격증 정보 - 전기기능사

2025년 시험일정
구분 필기원서접수
(휴일 제외)
필기 시험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실기원서접수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
제1회 1.6 (월)
~ 1.9 (목)
1.21 (화)
~ 1.25 (토)
2.6 (목) 2.10 (월)
~ 2.13 (목)
3.15 (토)
~ 4.2 (수)
4.11 (금)
제2회 3.17 (월)
~ 3.21 (금)
4.5 (토)
~ 4.10 (목)
4. 16 (수) 4.21 (월)
~ 4.24 (목)
5.31 (토)
~ 6.15 (일)
6.27 (금)
산업 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및 특성화고
등 필기시험 면제자 검정
(일반 필기시험 면제자 응시불가)
5.19 (월)
~ 5.22 (목)
6.14 (토)
~ 6.24 (화)
7.18 (금)
제3회 6.9 (월)
~ 6.12 (목)
6.28 (토)
~ 7.3 (목)
7. 16(수) 7.28 (월)
~ 7.31 (목)
8.30 (토)
~ 9.17 (수)
9.26 (금)
제4회 8.25 (월)
~ 8. 28 (목)
9.20 (토)
~ 9.25 (목)
10. 15(수) 10.20 (월)
~ 10.23 (목)
11.22 (토)
~ 12.10 (수)
12.19 (금)

※ 원서접수 시간: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의 09:00
※ 세부 일정은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www.q-net.or.kr) 참조

전기기능사란?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으로 하여금 전기기기를 제작, 제조 조작, 운전, 보수 등을 하도록 하기 위해 자격제도 제정한다.
수행업무
전기에 필요한 장비 및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기, 정지기, 제어장치 또는 빌딩, 공장, 주택, 및 전력시설물의 전선, 케이블, 전기기계 및 기구를 설치, 보수, 검사, 시험 및 관리하는 일
자격증 관계도
전기기사 시험과목
전기기능사 · 전기기능사 시험은 전기에 대한 기초를 다루며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 기술사 시험 응시에 도움을 준다.
· 기능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산업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되고, 3년 이상 종사한 경우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 기능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2년 이상 전기공사업무를 수행한 경우 전기 기술자 초급 자격이 주어진다.
전기산업기사 · 기능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 전기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전기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능장· 기술사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전기기사 · 기사는 산업기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 고도의 전문지식 습득 및 서비스정신, 일에 대한 정열은 필수적이다.
전기기능장 · 기능장은 최고급 수준의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관리, 소속 기능인력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계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주는 현장관리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후 동일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능장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전기관련기술사 · (전기안전기술사, 전기응용기술사,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발송배전기술사, 전기철도기술사, 철도신호기술사)
· 기술사 자격은 기술자격증의 꽃. 관련분야 취업뿐 아니라 승진, 보직, 자격수당 등에서 우대받는 고급자격· 면허증으로,
·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산업기사는 5년, 기능사는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 가능하다.
전기직공무원 · 전기기사는 7급, 9급 전기직 공무원 채용 시험시 최대 5%의 가산점이 인정되며, 전기직 공무원 시험과목은 기사 시험 일부 과목과 중복되어 시험공부 시 유리하다.
전기안전관리자 · (전기공사기사는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불가능)
· 전기기사 + 실무경력 2년 이상이면 전기안전관리자로 선임이 가능하며, 전기안전관리자는 모든 전기설비의 공사 · 유지 및 운용에 관한 안전관리를 할 수 있다.
진로 및 전망
발전소, 변전소, 전기공작물시설업체, 건설업체, 한국전력공사 및 일반사업체나 공장의 전기부서, 가정용 및 산업용 전기 생산업체, 부품제조업체 등에 취업하여 전기와 관련된 제반시설의 관리 및 검사업무 보조 및 담당할 수 있습니다.

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 전기공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 자격증 취득의 첫 단계입니다.

설치된 전기시설을 유지·보수하는 인력과 전기제품을 제작하는 인력수요는 계속될 전망이며, 새롭게 등장하는 신기술의 개발로 상위의 기술수준 습득이 요구되므로 꾸준한 자기개발을 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우대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가산점
① 국가기술자격법령 또는 그 밖의 법령에서 정한 자격증소지자가 당해 분야에 응시할 경우 매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 대하여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점수를 가산한다. 다만, 가산 특전은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② 전기기능사의 경우, 전기 분야의 8 · 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의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3% 가산점을 준다.
응시자격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다.
연령, 학력, 경력, 성별, 지역 등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시험 응시료
전기기사 시험과목
필기 14,500원
실기 106,200원
시험 과목 및 검정 방법
전기기사 시험과목
구분 시험방법 시험과목 시험출제형태 시험시간
전기기능사 필기시험 (1차) • 전기이론
• 전기기기
• 전기설비
객관식 4지택일형, 60문항 1시간
실기시험 (2차) 전기설비작업 작업형 4시간 30분
합격기준
합격기준
합격기준 면제기준 주관처 출제기준표
  1.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2.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필기시험 합격자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 면제
한국산업인력공단 전기기능사 출제기준.hwp 다운로드
CBT 시험 안내
개요

CBT(Computer Based Test) 시험 방식은 컴퓨터를 이용해 시험에 응시하는 방식으로서 기존 기사 시험과 같이 시험지와 OMR 카드를 활용하여 진행되던 PBT(Paper Based Test) 방식과는 달리 문제 확인, 정답 입력 및 성적 처리까지 모두 컴퓨터를 통해 이루어지는 방식입니다. 전기기사는 2022년 제3회 시험부터 CBT 방식이 적용되고 있기에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기존 시험 방식과의 비교
구분 CBT PBT
출제방식
  • 문제은행 방식으로 출제
  • 응시자별 문제가 모두 다름
  • 출제자의 문제 제작 및 출제
  • 모두 동일한 문제가 출제되며, 순서만 다름(A형/B형)
시험 방식
  • 컴퓨터 화면을 통해 문제 확인 및 클릭으로 정답 입력
  • 정답 수정 시 클릭을 통해 곧바로 수정 가능
  • 종이 문제지를 통해 문제 확인
  • OMR 카드 마킹으로 답안지 기재
  • 정답 수정 시 OMR 카드를 교체하여 다시 기입
합격 확인
  • 시험 직후 결과 및 합격 여부 확인이 가능
  • 시험 이후 일정 기간(2주 정도)이 소요됨
CBT 시험 응시 TIP

① 컴퓨터 화면을 통해 문제를 확인합니다.
② 남은 시간 및 풀지 않은 문제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③ 문제의 정답을 클릭하여 마킹합니다. 위치가 혼동될 경우 문제의 보기를 직접 클릭하여도 동일하게 마킹됩니다.
④ 계산이 필요한 경우 ‘공학용 계산기’를 클릭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
⑤ 모든 답안을 완성한 후 ‘제출하기’ 버튼을 눌러 답안지를 제출합니다. 답안 제출과 동시에 취득 점수 및 합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도별 검정현황
연도별 검정현황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3 60,239 21,017 34.9% 30,545 22,655 74.2%
2022 48,440 16,212 33.5% 27,498 20,053 72.9%
2021 57,148 19,587 34.3% 32,755 23,473 71.7%
2020 49,176 18,313 37.2% 31,921 21,432 67.1%
2019 53,873 16,802 31.2% 29,957 19,832 66.2%
2018 48,832 15,176 31.1% 28,488 18,138 63.7%
평균 52,951 17,851 33.7% 30,194 20,931 69.3%

출처 : 국가기술자격증 (Q-net)

전기기능사 응시인원
전기기능사 합격률
과목별 학습전략
전기이론 꼭 필요하지만 어려운 까다로운 전기이론!
전기에 관련된 학문이나 산업현장에 대한 내용을 폭 넓게 이해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과목이지만 내용에 관한 증명이나 이해가 쉽지 않으므로 결과에 해당하는 공식위주로 문제유형을 파악하고 적용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신규 문제는 2~3문제 정도 출제되고 나머지는 기존 기출문제에서 출제되기 때문에 수업과 병행하여 교재를 착실히 활용하면 합격에 필요한 점수를 얻을 수 있는 교과목이다.
전기기기 先(선)암기 後(후)이해!
익숙한 기기 같지만 생소하고, 쉬운 과목 같지만 쉽지 않다.
개념도 알아야 하고 계산도 할수 있어야 하는 과목이다.
생소한 용어에 너무 궁금해하지 말고 계산문제에 너무 집착하지 말자. 또한 과목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이 중요하므로 한번에 끝내는 정독보다는 몰라도 넘어가고 다 봤으면 다시보는 다독을 하자.
수업에서 교재에서 강조하는 것만 암기하고 정리해도 합격은 충분한 과목입니다.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우리가 필요한 점수는 60점입니다.
전기설비 ‘한국전기설비규정(KEC)’과 ‘공사재료’의 필요성 및 특성을 이해하고 현장 설비 운영 및 시공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열심히 정리하고 암기하면 충분히 고득점이 가능한 과목이고 반드시 고득점이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내용중에 변경되어 새로 도입된 부분의 경우 기출문제가 부족하고 출제 방향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수업과 교재를 바탕으로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차근차근 정리하면서 학습한다면 자격증 합격과 현장 근무에 큰 힘이 될 것입니다.
과제명 전기설비의 배선 및
배관공사
검정방법 작업형 시험시간 4시간 30분
구분 내용
전기공사 준비하기 (1) 전기공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전기공사 도면을 이해할 수 있다.
(2) 전기공사 수행을 위한 필요 자재물량을 산출할 수 있다.
(3) 전기공사를 수행하기 위해 공구를 용도에 맞게 준비할 수 있다.
전기 배관 배선하기 (1) 배관, 배선 공사를 위해 전선관 및 전선을 원하는 사이즈로 재단할 수 있다.
(2) 배관, 배선 공사를 위해 도면을 이해하고 금속관, PVC 배관을 할 수 있다.
(3) 전기배선을 위해 전선 접속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기기계기구
설치하기
(1) 각종 장비의 매뉴얼에 따라 해당장비가 정상적을 동작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2) 설계도면에 따라 선로의 시공의 적합성에 대하여 판단할 수 있다.
(3) 기기의 설치 위치 및 관로의 구성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전동기제어
및 운용하기
(1) 시퀀스 원리를 활용하여 작업지침서에 따라 시퀀스 회로를 완성하고 제어용 기기(전자접촉기 등)를 설치할 수 있다.
(2) 전동기 정회전, 역회전 원리를 기초로 작업지침서에 따라 전동기 단자에 전원선을 연결할 수 있다.
(3) 전동기 기동원리를 기초로 작업지침서에 따라 전동기 기동장치를 설치 및 기동 운전할 수 있다.
(4) 전동기 운전조건을 활용하여 운전지침에 따라 전동기를 기동하고 정지할 수 있다.
(5) 전동기 정격운전 조건을 기초로 하여 전동기 운전지침에 따라 전동기 운전 값을 계측, 기록, PC에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전기시설물의 검사 및 점검하기 (1) 계측기를 활용하여 지정된 운전정격 값에 따라 운전 값(전압, 전류, 역율, 전력 등)을 측정할 수 있다.
(2) 계측된 값을 활용하여 운전 지침에 따라 운전 값을 기록, 저장, 컴퓨터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3) 계측된 값을 활용하여 정상 운전 값에 따라 계측된 값을 비교하여 기록할 수 있다.
(4) 운전지식을 활용하여 운전 지침에 따라 전력시설물을 정지 또는 가동시킬 수 있다.
[전기이론] 출제경향 분석
2023년 1회차
전체난이도 : 하
신규 문제가 2~3문제가 나오고 있지만, 기존 문제에서 크게 벗어난 사항은 없습니다. 따라서 기출문제 5년치 이상을 3회독 했다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2023년 1회차 전기이론의 난이도는 ‘하’이며, 최소 16문제(80점) 이상을 맞힐 수 있는 시험입니다.
2022년 2회차
전체난이도 : 중
정의 및 결과식을 찾는 문제보다는 간단하게라도 계산기를 사용하는 문제가 다수 출제되고 있습니다. 23년 2회차도 같은 경향을 보이므로 시험을 준비할 때 계산기도 자주 다루어 보는 것이 필요하고 쉬운 문제는 반드시 풀 수 있도록 정의 및 기본 공식을 암기하셔야 합니다.
2023년 3회차
전체난이도 : 하
까다로운 문제(5번, 15번) 몇 개를 빼고는 전체적으로 평이하게 출제되었습니다. 교재와 기출문제로 출실하게 학습하셨다면 고득점을 받을 수 있는 시험입니다.
2023년 4회차
전체난이도 : 상
23년 1, 2, 3회차보다는 어렵게 출제되었지만, 합격을 하지 못할 만큼 난해한 시험은 아니었습니다. 23년 4회차 전기이론 시험에서 문제 1, 2, 6, 8, 18번을 제외하고는 평이하게 출제되었으니, 어려운 문제에 신경 쓰지 말고 기본 문제만 맞히셨어도 충분히 14개(70점) 이상 획득할 수 있는 시험이었습니다.

* 2023년 가장 최근 시험에 대한 분석내용입니다.

문영철 선생님의 [전기이론] 학습 TIP
전기이론은 전기자기학과 회로이론으로 구성되며 전기자기학에서는 전기학과 자기학으로 구부되어 전계, 자계, 자기현상, 플레밍 법칙, 인덕터스 등에 대해서 학습합니다.
이 과목은 다른 과목에 비해 수학적인 개념과 복잡한 증명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험생들이 학습하기에 가장 어려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출문제 분석을 통해 주요내용을 파악하여 공부를 한다면 복잡한 계산 및 증명과정 없이도 충분히 합격에 필요한 점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기출문제를 분석해 보면 정의 및 결과식을 찾는 문제가 8문제, 암기한 공식에 숫자를 대입하여 풀이하는 단순 계산문제가 5~6문제 정도 출제되고 있으므로 기본에 충실하게 학습이 된다면 충분히 좋은 점수를 얻을수 있습니다.
[전기기기] 출제경향 분석
2023년 1회차
전체난이도 : 중
계산문제는 3문제 정도 출제되었지만, 단답형으로 암기해야 하는 문제가 다수 출제되어 전체적인 내용을 알고 있어야 고득점이 가능했을 겁니다.
2023년 2회차
전체난이도 : 하
약 75% 이상이 기출문제에서 출제되어 크게 어렵지 않았습니다. 계산문제가 4문제 정도 출제가 되었는데, 1문제를 제외하고는 쉽게 풀 수 있었을 겁니다.
2023년 3회차
전체난이도 : 하
계산문제가 7문제 정도 출제되었는데, 5문제 이상은 기본적인 공식을 외우거나 공부를 조금 하셨다면 충분히 풀 수 있었을 겁니다. 그 외의 문제에서도 중요한 내용만 어느 정도 숙지했다면 수월한 난이도의 시험이었을 겁니다.
2023년 4회차
전체난이도 : 하
어느 정도 전기기기에 대한 내용을 알고 있다면 충분히 합격에 필요한 점수를 얻을 수 있는 회차입니다. 출제된 계산문제도 복잡한 계산을 요구하거나 새롭게 출제된 건 없습니다.

* 2023년 가장 최근 시험에 대한 분석내용입니다.

문영철 선생님의 [전기기기] 학습 TIP
전기기기는 발전기, 전동기, 변압기, 정류기 대해 공부하는 과목으로 많이 들어 익숙한 설비에 대해 공부하므로 쉽게 학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막상 공부를 하고 시험을 보게되면 점수가 잘 나오지 않아 많은 수험생들이 힘들어하는 과목입니다. 반면에 전기이론이 어느정도 정리되어 있으면 전기기기의 학습에 큰 도움이 되어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는 과목이기도 합니다.
전기기기는 5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체적으로 고르게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직류기, 동기기, 변압기 및 유도기에서 4~5문제씩 출제되고 정류기에서 1~2문제 출제되고 있습니다. 이때 암기해서 풀이는 문제는 12~14정도와 계산문제의 출제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데 6~8문제 정도 출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기의 특성 및 개념, 중요수식에 대해 집중적으로 학습한다면 합격에 필요한 점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습니다.
[전기설비] 출제경향 분석
2023년 1회차
전체난이도 : 중
계산문제(24번, 31번, 37번)와 생소한 단어가 나온 36번을 제외하면 난이도가 평이했습니다. 기존 기출문제에서 대부분 출제되었으며, 신규 문제는 2~3문제입니다.
2023년 2회차
전체난이도 : 중
계산문제는 없었으나 신규 문제가 2~3문제 출제되었습니다. 기존 기출에서 대부분 출제되었지만, 기존 기출에서 심화 내용이 담긴 문제도 1~2문제 출제되었습니다. 다른 문제의 난이도는 평이하였습니다. 따라서 난이도는 ‘중’이며, 최소 14문제(70점) 이상 맞힐 수 있는 회차입니다.
2023년 3회차
전체난이도 : 하
2022년도에 출제된 신규 문제(21번)가 포함된 시험이었습니다. 21번 문제를 포함한 신규 문제는 2~3문제였으며, 계산문제는 출제되지 않았습니다. 나머지 문제는 기존 기출에서 출제되었으므로 난이도는 ‘하‘이며, 최소 16문제(80점) 이상 맞힐 수 있는 시험입니다.
2023년 4회차
전체난이도 : 하
계산문제 1문제와 신규 문제 2~3문제가 출제되었지만, 37번 같은 경우는 2022년 기출문제에 포함된 문항입니다. 신규 문제가 아닌 문제는 기존 기출에서 출제되었고 난이도는 평이합니다. 그러므로 난이도는 ‘하’이며, 최소 16문제(80점) 이상 맞힐 수 있는 시험입니다.

* 2023년 가장 최근 시험에 대한 분석내용입니다.

문영철 선생님의 [전기설비] 학습 TIP
전기설비는 한국전기설비규정(KEC)과 공사재료로 구성되며 한국전기설비규정에서는 전선로의 구성, 접지설비, 보호설비, 공사방법 등에 대해 학습하고, 공사재료에서는 전기공사시 사용되는 공구 및 활용방안에 대해서 학습합니다.
전기설비는 다수의 수험생들이 가장 수월하게 학습하는 과목으로 전기이론 및 전기기기에 비해 고득점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전기설비의 필요성을 차근차근 정리하면서 학습하게 된다면 자격증 시험합격 뿐만아니라 추후 현장에서 근무시 안전 및 업무처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게시판이름
번 호 구분 제 목 날짜
공지 기사자격증 2024년도 기사 제1회 필기시험 주요 안내사항 2024-01-23
공지 기사자격증 2024년도 국가기술자격 검정 시행계획 공고 2023-12-26
공지 기사자격증 모바일 큐넷(App) 휴대폰 인증 서비스 관련 안내 2023-08-07
공지 기사자격증 2023년 신설 종목(공간정보융합기능사 및 산업기사) 필기시험 예제문제 안내 2023-08-02
공지 기사자격증 큐넷 서비스 이용 관련 인터넷 브라우저 안내 2023-06-29
453 기사자격증 국가자격검정 인정신분증 범위 조정 안내(적용시작 2025. 01. 13.~) 2025-01-10
452 기사자격증 2025년 정기 기사 제1회 필기시험 시험장 사전 공개 2025-01-08
451 기사자격증 2025년도 국가기술자격시험 전자(통신)기기 관리 방안 안내 2025-01-06
450 기사자격증 2025년 기능사 제1회 필기시험 수험자 안내(수정) 2025-01-06
449 기사자격증 2025년도 기사 제1회 필기시험 원서접수 주요 안내사항 2025-01-06
448 기사자격증 2025년 기능장 제77회 필기시험 수험자 안내(수정) 2025-01-06
447 기사자격증 국가기술자격 응시자격서류 제출 유의사항 안내 2025-01-06
446 기사자격증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 합격자 면제기간 조정 알림 2025-01-06
445 기사자격증 국가기술자격법령 개정에 따라 2025년부터 변경되는 자격종목 안내 2025-01-06
444 기사자격증 2025년도 국가기술자격 상시검정 시행계획 공고 2025-01-06
TOP ▲
패밀리사이트